구글 서치 콘솔 확인법 - 색인 생성 목록 2가지

글을 작성하고 송고하였는데 구글에서 찾을 수 없을때, 크롤링과 색인에 관련하여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한 페이지 오류를 확인하고 색인 생성 목록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생성한 후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각 포털 사이트의 검색엔진에 등록을 하는 것입니다. 등록 방법은 거의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 구글(Google) - 서치콘솔
  • 빙(Bing) - 웹마스터 도구
  • 네이버(Naver) - 웹마스터 도구


그런데 문제는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등록하고 나서 사이트맵을 제출하였음에도 제대로 색인이 되지 않아 사이트에 올라오지 않는 현상이 있을때입니다.

구글에서의 글 누락현상을 알아보려면 아래와 같이 각 검색폼에 작성하여 서치하면 됩니다.

site : 자신의 사이트 주소


페이지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

여기에서는 구글 서치콘솔의 페이지 항목에 관하여 정리합니다. 타 검색엔진의 경우는 차후 정리되는데로 추가로 작성하기로 합니다.

우선 색인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해 아래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 구글 서치 콘솔 > 색인생성 > 페이지 항목
  • 알려진 모든 페이지


이렇게 이동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목록들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각자 사이트에 따라서 항목이 늘어나는 경우도 있고 이보다 적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 점은 감안하고 보도록 합니다.


서치콘솔-항목
구글 서치 콘솔 색인 항목


여기서 우리가 확인해야 할 것은 위의 스샷의 1번과 2번 항목입니다.

여타 다른것들은 나중에 확인하기로 하고 색인과 크롤링 연관이 있는 2가지 중요 항목을 보도록 합니다. 소스 항목을 보면 'Google 시스템'으로 나오게 됩니다.

확인해야 하는 2가지 항목은 크롤링과 색인 문제입니다.

페이지의 색인이 생성되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크롤링이 안되거나 어떠한 문제로 색인이 안되는 경우입니다.


현재 색인이 생성되지 않음 2가지 목록

위의 조회 항목을 기준으로 두 가지 내용에 대해 정리 하겠습니다.

이미 아는 분들도 있을 테고,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미 아는 분들도 있을텐데 그런 분들은 그냥 가볍게 읽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크롤링 됨 목록

  • 기본적으로 구글 서치봇에 의해 페이지의 크롤링이 된 상태
  • 이후 색인이 되지 않은 상태


이 목록은 기본적인 구글의 크롤링이 된 상태입니다.

여기에 있는 목록은 색인이 되어 있지만 결과표에 갱신이 안된 글의 URL도 있으며(갱신 날짜 확인) 어떤 이유에서 색인 순번이 오지 않은 경우 입니다.

그러므로 다시 URL을 제출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방법 : 이미 크롤링이 되어 페이지 확인이 끝난 상태이기 때문에 색인을 기다림


2. 발견됨 목록

두 번째는 현재 글이 발견이 되었지만 색인 생성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우리는 이 목록을 자주 확인하여 다시 색인 신청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크롤링이 되지 않은 상태이며 페이지를 발견했지만 아직 읽어 들이지 못한 상태라고 여겨집니다.

이유로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 사이트 과부하의 상태
  • 크롤링의 일정이 변경된 상태


방법 : 구글 서치 콘솔을 확인하여 이러한 목록이 있다면 URL을 검사하여 다시 색인 등록 신청.


마무리하며

어떤 사람들은 이런것을 쓸데없이 시간 낭비를 하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물론 검색에 관해 신경쓰지 않고 자신의 글을 쓴다면 속 편하겠지만 색인이 되고 안되고를 떠나 자신의 글이 웹상에 올라가 구독자가 들어오는 것을 신경쓰는 사람이라면 아주 민감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어쨌거나 구글을 포함한 여타 검색엔진들도 완벽하지는 않은 터라 여러가지로 신경 쓰이는 것이 사실입니다.왜 내 글이 검색이 안되느냐. 불안하다면 일단은 구글 서치 콘솔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이전